신천대로 (달성 대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천대로는 대구광역시 달서구에서 달성군 가창면을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이다. 1984년 구마고속도로지선으로 시작하여, 1990년대 말 확장 및 연장을 거쳐 2013년 신천좌안도로 구간을 포함하여 현재의 노선으로 지정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달서구, 서구, 북구, 중구, 남구, 수성구, 달성군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남구의 교통 - 중앙대로 (대구)
대구광역시 남구에서 북구를 잇는 중앙대로는 대구광역시도 제61호선에 속하며, 주요 교차로와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된 도시철도 구간을 지난다. - 대구 남구의 교통 - 앞산순환로
대구 앞산순환로는 신천대로와 대구 4차순환선을 잇는 주요 도로로, 1990년대 후반 고가차도와 지하차도 건설을 통해 도심 교통 흐름 개선에 기여했다. - 대구 중구의 교통 - 달구벌대로
달구벌대로는 대구광역시의 여러 구를 경유하는 도로이며, 2009년에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고시되었고 강창교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 - 대구 중구의 교통 - 동성로 (대구)
동성로는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상업 지구로, 과거 대구읍성 성곽 자리에 조성되었으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이 지나가고, 대구백화점 등 쇼핑 시설과 문화 행사가 열리는 곳이다. - 대구 서구의 교통 - 서대구역
서대구역은 경부선에 위치한 고속철도와 대구권 광역철도가 정차하는 복합환승역으로, 2022년 3월 개업 후 운영 범위가 확대될 예정이나 역세권 개발 지연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 대구 서구의 교통 - 국도 제4호선
국도 제4호선은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경상북도 경주시까지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일반국도로, 새만금 지역과 주요 도시 및 관광지를 연결하며 여러 고속도로, 국도와의 교차로를 통해 전국 주요 지역과의 접근성을 제공하지만 일부 도심 구간에서는 교통 혼잡이 발생할 수 있는 300km가 넘는 장거리 노선이다.
신천대로 (달성 대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종류 | 대구광역시도, 도시고속화도로 |
노선 번호 | 대구광역시도 제11호선 |
이름 | 신천대로 (Sincheondaero) |
로마자 표기 | Sincheondaero |
노선 정보 | |
총 연장 | 19.0km |
개통 년도 | 1994년 3월 |
경로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
주요 경유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구광역시 서구 대구광역시 북구 대구광역시 중구 대구광역시 남구 대구광역시 수성구 대구광역시 달성군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
연결 도로 | |
주요 교차 도로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3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대구광역시도 제10호선 대구광역시도 제12호선 대구광역시도 제22호선 대구광역시도 제28호선 대구광역시도 제31호선 대구광역시도 제34호선 대구광역시도 제36호선 대구광역시도 제38호선 대구광역시도 제40호선 대구광역시도 제50호선 대구광역시도 제54호선 대구광역시도 제56호선 대구광역시도 제59호선 대구광역시도 제61호선 대구광역시도 제63호선 대구광역시도 제67호선 대구광역시도 제68호선 대구광역시도 제71호선 |
2. 역사
- 1998년 12월: 성서 나들목 ~ 이현 나들목 구간이 구마고속도로 확장과 함께 신천대로에 편입되어 노선이 연장되었다.
- 1999년 9월 30일: 서대구 나들목 ~ 성서 나들목 3.6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하였다.[9]
- 2010년 6월: 남대구 나들목 ~ 성서 나들목 구간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확장과 함께 성서 나들목을 포함한 기존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남대구 나들목 ~ 서대구 나들목 구간을 신천대로에 편입하여 노선이 연장되었다.
- 2011년 8월 26일: 신천좌안도로(수성구 파동 파동IC ~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 용계삼거리) 1.8km 구간이 임시 개통되었다.[10]
- 2011년 9월 20일: 이현 램프가 개통되었다.[11]
- 2013년 12월 10일: 신천좌안도로(남구 봉덕동 ~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 4.06km 구간을 '''신천대로'''로 지정하였다.[12]
- 2013년 12월 27일: 신천좌안도로(남구 봉덕동 ~ 수성구 파동) 2.63km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다.[13]
- 2014년 4월 30일: 신천좌안도로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14]
2. 1. 구마고속도로지선 시절
- 1984년 6월 28일 : 구마고속도로의 이현 분기점 ~ 팔달교 구간이 고속국도 제7의2호선 '''구마고속도로지선'''으로 분리되었다.[3]
- 1987년 3월 12일 : 신천대로 연결 공사로 인해 대구직할시 서구 비산동 380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4]
- 1987년 9월 29일 : 삼덕초등학교 동편(중구 삼덕동) ~ 대봉동 1.0km 구간, 팔달교 ~ 침산교 4.0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하였다.[5]
- 1992년 4월 29일 : 기점을 '대구직할시 서구 이현동'에서 '대구직할시 서구 상리동'으로 변경하였다.[6]
- 1994년 3월 : 팔달교 ~ 상동교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94년 6월 1일 : 구마고속도로지선 (서대구 나들목 ~ 팔달교 교차로) 2.57km 구간이 폐지되었다.[7]
- 1996년 7월 1일 : 주변 지역의 시가화로 인하여 고속국도로서의 기능이 상실된 구마고속도로지선 노선 지정이 폐지되었다.[8]
2. 2. 확장 및 연장
- 1984년 6월 28일 : 구마고속도로의 이현 분기점 ~ 팔달교 구간이 고속국도 제7의2호선 '''구마고속도로지선'''으로 분리[3]
- 1987년 3월 12일 : 신천대로 연결 공사로 인해 대구직할시 서구 비산동 3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
- 1987년 9월 29일 : 삼덕초등학교 동편(중구 삼덕동) ~ 대봉동 1.0km 구간, 팔달교 ~ 침산교 4.0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
- 1992년 4월 29일 : 기점을 '대구직할시 서구 이현동'에서 '대구직할시 서구 상리동'으로 변경[6]
- 1994년 3월 : 팔달교 ~ 상동교 개통
- 1994년 6월 1일 : 구마고속도로지선 (서대구 나들목 ~ 팔달교 교차로) 2.57km 구간 폐지[7]
- 1996년 7월 1일 : 주변지역의 시가화로 인하여 고속국도로서의 기능이 상실된 구마고속도로지선 노선 지정 폐지[8]
- 1998년 12월 : 성서 나들목 ~ 이현 나들목 구간 구마고속도로 확장과 함께 노선 연장
- 1999년 9월 30일 : 서대구 나들목 ~ 성서 나들목 3.6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9]
- 2010년 6월 : 남대구 나들목 ~ 성서 나들목 구간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확장과 함께 성서 나들목을 포함한 기존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남대구 나들목 ~ 서대구 나들목 구간을 신천대로에 편입하여 노선 연장
- 2011년 8월 26일 : 신천좌안도로(수성구 파동 파동IC ~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 용계삼거리) 1.8km 구간 임시 개통[10]
- 2011년 9월 20일 : 이현 램프 개통[11]
- 2013년 12월 10일 : 신천좌안도로(남구 봉덕동 ~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 4.06km 구간을 '''신천대로'''로 지정[12]
- 2013년 12월 27일 : 신천좌안도로(남구 봉덕동 ~ 수성구 파동) 2.63km 구간 신설 개통[13]
- 2014년 4월 30일 : 신천좌안도로 구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4]
3. 신천좌안도로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과 남구 봉덕동을 연결하는 도로이다.
신천대로의 기존 종점인 남구 봉덕동에서 상동교를 거쳐 가창면으로 가는 4.5km 구간은 평균 시속 10km 밖에 되지 않아 이동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는 심각한 상습 정체구간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06년 제1차 대도시권 혼잡도로 개선계획에 포함되어 국비 4330억원을 포함한 총 878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어 건설되었다. 2010년 8월에 착공되었고, 2014년 5월 22일에 개통되었으며[15] 신천대로와 직결된다. 이 도로를 건설하면서 상습 정체 교차로였던 상동교 교차로를 입체화시켜 정체 해소에 도움을 주고 있다.
4. 주요 경유지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 장동 · 본리동 · 장기동 · 용산동) - 서구 (중리동 · 상리동 · 이현동 · 비산동) - 북구 (노원동3가 · 노곡동 · 조야동 · 침산동 · 칠성동2가 · 칠성동1가) - 중구 (동인동3가 · 동인동4가 · 삼덕동3가 · 대봉동) - 남구 (이천동 · 봉덕동) - 수성구 파동 - 달성군 가창면
5. 노선
신천대로는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중복 구간과 신천좌안도로 구간을 포함하며, 상행은 수성구 방면, 하행은 달서구 방면이다.
시설물은 다음과 같다.
- IC: 나들목(Interchange)
- IS: 삼거리 또는 사거리 형태의 교차로(Intersection)
-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신천대로의 대부분의 교차로는 입체 교차로(지하차도) 형태로 되어 있으며, 주변 도로와 연결된다.
5. 1. 나들목 및 분기점
종류 | 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IC | 남대구 나들목 | 451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대구광역시도 제28호선 (구마로) (성서공단로) 월곡로94길 | 대구광역시 달서구 | 기점 |
IC | 성서 나들목 | 국도 제30호선 (달구벌대로) | ||
IC | (이름 없음) | 장산로 선원로59길 | 상행 장산로에서 진입만 가능 하행 선원로59길로 진출만 가능 | |
IC | 서대구 나들목 | 451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대구광역시도 제54호선 (북비산로) | 서구 | |
BR | 달서교 | | | ||
IC | 이현램프 | 대구광역시도 제56호선 (서재로) | 하행 진출만 가능 | |
IS | 매천대교지하차도 | 대구광역시도 제31호선 (매천로) | 북구 | |
IS | 팔달교 교차로 (팔달교지하차도) | 국도 제4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25호선 (칠곡중앙대로) (팔달로) | ||
IC | 노곡교 남단 | 노곡로 | 하행 진출입만 가능 | |
IC | (이름 없음) | 노원로25길 | 3공단 진출로 상행 진출만 가능 | |
IC | 서변대교 남단 | 대구광역시도 제12호선 (서변남로) | 상행 진출 불가 북대구 나들목과 간접 연결 | |
IS | (이름 없음) | 대구광역시도 제59호선 (침산로) | 상행 진출만 가능 | |
IS | 침산교지하차도 | 국도 제4호선 국도 제25호선 (노원로) | ||
IS | 성북교지하차도 | 대구광역시도 제68호선 (성북로) | ||
IS | 도청교지하차도 | 대구광역시도 제61호선 (중앙대로) | ||
IS | 경대교지하차도 | 대구광역시도 제71호선 (침산남로) | ||
IS | 칠성고가차도 북단 | 대구광역시도 제63호선 (공평로) 칠성시장로 |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BR | 칠성고가차도 | | | ||
IC | 칠성고가차도 남단 | 대구광역시도 제56호선 (칠성남로) |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IS | 신천교네거리 (신천교지하차도) | 대구광역시도 제54호선 (태평로) | 중구 | |
IS | 동신교지하차도 | 대구광역시도 제50호선 (국채보상로) | ||
IS | (이름 없음) | 국채보상로150길 | 상행 진입만 가능 | |
IS | 수성교지하차도 | 대구광역시도 제40호선 (달구벌대로) | ||
IS | (이름 없음) | 대구광역시도 제67호선 (동덕로) | 상행 진출입만 가능 | |
IS | 대봉교지하차도 | 대구광역시도 제38호선 (명덕로) | 남구 | |
IS | 희망교지하차도 | 대구광역시도 제36호선 (희망로) | ||
IS | (이름 없음) | 대구광역시도 제34호선 (봉덕로) | 상행 진출입만 가능 | |
IS | 중동교지하차도 | 대구광역시도 제28호선 (대덕로) (청수로) 중앙대로22길 | ||
IS | 상동고가교 | 대구광역시도 제22호선 (앞산순환로) 상화로 | ||
IS | 두산교 서단 | 대구광역시도 제22호선 (무학로) | ||
IS | 파동IC삼거리 | 대구광역시도 제10호선 (앞산터널로) | 수성구 | |
IS | 용계교 북단 |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가창로) | 달성군 가창면 | 종점 |
참조
[1]
문서
서대구 나들목부터 삼덕초교까지는 1987년 10월 1일부터, 성서 나들목부터 서대구 나들목까지는 1999년 9월 30일부터
[2]
웹사이트
국토교통부 교통정책실의 자동차 전용도로 현황
http://www.molit.go.[...]
[3]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1449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4-06-28
[4]
건설부고시
건설부고시 제76호
http://theme.archive[...]
1987-03-12
[5]
대구직할시공고
대구직할시공고 제224호
http://theme.archive[...]
1987-09-29
[6]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363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2-04-29
[7]
건설부공고
건설부공고 제1994-199호
http://theme.archive[...]
1994-05-09
[8]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9]
대구광역시공고
대구광역시공고 제1999-288호
1999-09-30
[10]
대구광역시공고
대구광역시공고 제2011-588호
http://sido.daegu.go[...]
2011-08-26
[11]
대구광역시공고
대구광역시공고 제2011-618호
http://sido.daegu.go[...]
2011-09-08
[12]
대구광역시고시
대구광역시고시 제2013-156호
http://sido.daegu.go[...]
2013-12-10
[13]
대구광역시공고
대구광역시공고 제2013-1164호
http://sido.daegu.go[...]
2013-12-20
[14]
대구광역시공고
대구광역시공고 제2014-307호
http://sido.daegu.go[...]
2014-04-30
[15]
뉴스
신천좌안도로 준공, 대구 남부권 교통망 구축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4-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